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MBTI 성격유형검사

mbti 성격유형검사

MBTI는 기업체나 학교 등에서 진로 선택이 필요한 시기에 인성검사 과목으로 활용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혈액형이나 별자리보다는 다양한 성격 유형을 설명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MBTI는 ‘마이어스 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개발자인 모녀의 성에서 따왔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개발됐는데, 분석심리학의 개척자로 꼽히는 카를 융의 성격 유형 이론에 근거해 개발됐다.

 

 

MBTI는 사람의 성격을 16가지로 분류한다.

MBTI의 성격 유형은 우선 4종류의 선호지표에 따라 달라진다.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 외향형(E)과 내향형(I), 선호하는 인식에 따라 감각형(S)과 직관형(N), 판단 방식의 선호도에 따라 사고형(T)과 감정형(F), 선호하는 삶의 패턴에 따라 판단형(J)과 인식형(P)이다.

 

 

누구나 외향적인 면과 내향적인 면을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둘 중 상대적으로 높은 유형이 선택된다.

E·I·S·N·T·F·J·P 등 영어 알파벳은 각 선호지표를 나타내는 영문표현에서 따온 것이다.

이렇게 선호지표별로 한 개씩 나뉘어 모두 16개의 조합이 만들어진다.

 

 

조합에 따라 16가지 유형마다 서로 다른 별명이 존재한다.

검사 결과에는 같은 유형의 유명인이나 연예인, 가상의 인물, 직업 등이 소개되기도 한다.

<E·I·S·N·T·F·J·P 로 표현하는 16가지 성격>

ISTJ 세상의 소금형

임금 뒤편의 권력형 ISFJ

INFJ 예언자형

과학자형 INTJ

ISTP 백과사전형

성인군자형 ISFP

INFP 잔다르크형

아이디어 뱅크형 INTP

ESTP 수완 좋은 활동가형

사교적인 유형 ESFP

ENFP 스파크형

발명가형 ENTP

ESTJ 사업가형

친선도모형 ESFJ

ENFJ 언변능숙형

지도자형 ENTJ